가정 연료용 등유와 경유의 가격이 하루가 다르게 급등해 서민들의 경제에 어려움이 절실하다. 이에 대비한 처방으로 일반 가정에서는 점차로 유류보일러를 철거하고 손쉽게 구할 수 있는 나무를 연료로 하는 화목보일러로 교체하는 경향이 눈에 보이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동지를 지난 요즈음 기온의 급강하로 화목보일러에 의한 화재가 점점 늘어나고 있어 화목 보일러 관리에 어느 때 보다도 요즘이 더더욱 신경을 써야 할 때다. 화목보일러를 주로 사용하는 곳은 농촌주택이 제일 많고 소규모 식당 ,일반건물 등이다.
지난해부터 올해 약2년에 걸쳐 화목보일러로 인한 화재가 도내에서 전체화재의 3%에 해당하는 49건이 발생했다. 이로 인하여 부상 1명을 포함하여 3억원의 재산피해를 입었다.
특히 화재가 다발하는 시기로는 연중 12월부터 3월 사이의 겨울철에 집중돼 주택 16건, 음식점, 기타건물 순으로 35건이 발생했다. 이러한 화재를 줄이 자면 다음 사항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우선 연통이 통과하는 벽체는 일정 공간을 유지 하고 시멘트블럭이나 석고판으로 열을 차단해 주어야 한다.
둘째 보일러실 주위에 급히 사용할 수가 있는 방화수를 보유하여야 하며 이보다 좋은 것은 가정용 소화기를 비치해야 한다.
셋째 주택의 경우 방마다 단독경보형감지기를 설치해 신속하게 화재발생을 자동 감지하여 신속하게 화재를 끌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특히 화목보일러는 유류용 보일러와는 달리 나무를 가까운 주위에 놓아두어야 하므로 나무를 별도 보관해 만일의 과열에 의한 연소 확대를 막기 위해선 가능한 한 자리를 뜨지 않는것도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의 일환이라 볼 수가 있다.
작은 비용으로 난방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화재가 자주 발생할 소지가 있음에 유의 하여 평소 보일러 관리에 철저를 기하여 화재로부터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해야 한다.
화목보일러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농촌주택은 위치적으로도 소방관서와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아 더더욱 화재예방에 철저를 기해야함을 강조하고 싶다.
따라서 동지를 지난 요즈음 기온의 급강하로 화목보일러에 의한 화재가 점점 늘어나고 있어 화목 보일러 관리에 어느 때 보다도 요즘이 더더욱 신경을 써야 할 때다. 화목보일러를 주로 사용하는 곳은 농촌주택이 제일 많고 소규모 식당 ,일반건물 등이다.
지난해부터 올해 약2년에 걸쳐 화목보일러로 인한 화재가 도내에서 전체화재의 3%에 해당하는 49건이 발생했다. 이로 인하여 부상 1명을 포함하여 3억원의 재산피해를 입었다.
특히 화재가 다발하는 시기로는 연중 12월부터 3월 사이의 겨울철에 집중돼 주택 16건, 음식점, 기타건물 순으로 35건이 발생했다. 이러한 화재를 줄이 자면 다음 사항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우선 연통이 통과하는 벽체는 일정 공간을 유지 하고 시멘트블럭이나 석고판으로 열을 차단해 주어야 한다.
둘째 보일러실 주위에 급히 사용할 수가 있는 방화수를 보유하여야 하며 이보다 좋은 것은 가정용 소화기를 비치해야 한다.
셋째 주택의 경우 방마다 단독경보형감지기를 설치해 신속하게 화재발생을 자동 감지하여 신속하게 화재를 끌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특히 화목보일러는 유류용 보일러와는 달리 나무를 가까운 주위에 놓아두어야 하므로 나무를 별도 보관해 만일의 과열에 의한 연소 확대를 막기 위해선 가능한 한 자리를 뜨지 않는것도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의 일환이라 볼 수가 있다.
작은 비용으로 난방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화재가 자주 발생할 소지가 있음에 유의 하여 평소 보일러 관리에 철저를 기하여 화재로부터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해야 한다.
화목보일러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농촌주택은 위치적으로도 소방관서와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아 더더욱 화재예방에 철저를 기해야함을 강조하고 싶다.
화이어 우드 http://www.firewood.co.kr
'흙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흙건축 이론교육 (0) | 2011.03.04 |
---|---|
흙건축 관련 Site (0) | 2011.03.01 |
짚풀영상 (0) | 2010.10.10 |
담틀 벽난로 (Rammed Earth Woodstoves) (0) | 2010.07.04 |
흙화분 (0) | 2010.07.04 |